티스토리 뷰

반응형

세나테크놀로지가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을 앞두고 공모주 청약을 진행합니다. 모터사이클 무선 통신 분야에서 독보적인 브랜드 가치를 보유한 세나테크놀로지는 14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일정부터 주관사 청약한도 및 기업 분석, 투자 포인트까지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세나테크놀로지 기업 정보

세나테크놀로지는 1998년 설립된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전문 기업으로, 모터사이클과 사이클링 분야의 팀 커뮤니케이션 제품을 개발·제조하고 있습니다.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하는 이번 공모에서는 총 56만주를 신주 모집 방식으로 공모합니다.

희망 공모가는 47,500원에서 56,800원 사이로 책정되었으며, 최종 공모가는 수요예측을 통해 56,8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종목명: 세나테크놀로지
  • 종목코드: 061090
  • 시장구분: 코스닥
  • 업종: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 대표이사: 김태용
  • 총 공모주식수: 560,000주
  • 희망 공모가: 47,500원 ~ 56,800원
  • 확정 공모가: 56,800원
  • 공모금액: 266억원
  • 주관사: KB증권, 신한투자증권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일정

세나테크놀로지의 공모 청약 일정은 2025년 10월 23일 수요예측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일정이 진행됩니다. 일반 청약자는 11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청약에 참여할 수 있으며, 상장일은 청약 종료 후 약 일주일 뒤인 11월 14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 수요예측: 2025년 10월 23일 ~ 10월 29일
  • 공모가 확정: 10월 31일
  • 일반 청약일: 2025년 11월 4일 ~ 11월 5일
  • 환불일: 2025년 11월 7일
  • 상장일: 2025년 11월 14일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일정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일정

주관사 및 청약 자격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하는 이번 공모는 두 증권사를 통해 청약할 수 있습니다. 일반 청약자는 별도의 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청약 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만 납부하면 됩니다.

그륩별 배정 물량
  • 우리사주조합: 28,000주 (5.0%) - 청약증거금율 100%
  • 기관투자자: 392,000주 (70.0%)
  • 일반청약자: 140,000주 (25.0%) - 청약증거금율 50%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청약 한도 및 증거금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한도는 공동주관사인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 고객 등급에 따라 다릅니다.

 

KB증권 청약한도

일반청약자격 2800주가 청약한도이지만 우대등급에 따라 더 청약할 수 있습니다. 

최소 청약주식수는 20주이며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만 납부하면 됩니다.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신한투자증권 청약한도

일반그룹의 고객은 1800주까지 청약할 수 있고 우대그룹은 등급에 따라 최고 5400주까지 청약가능합니다. 

최소 청약주식수는 20주입니다.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상장 후 유통 물량 분석

세나테크놀로지의 상장 후 즉시 유통 가능한 물량은 전체 주식의 36.22%입니다. 최대주주인 케이오일호투자는 2.5년간 보호예수가 적용되며, 대표이사와 등기임원도 2년간 주식 매각이 제한됩니다. 전 임원과 소액주주가 보유한 약 154만주(27.6%)와 공모 신주 56만주(10.04%)가 상장 직후 유통될 예정입니다.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주요 주주 보호예수 현황
  • 케이오일호투자 (최대주주): 1,876,750주 (33.65%) - 2.5년 보호예수
  • 김태용 (대표이사): 463,070주 (8.30%) - 2년 보호예수
  • 카카오게임즈 (5% 이상 주주): 800,000주 (14.34%) - 2년 보호예수
  • 즉시 유통 가능: 2,019,913주 (36.22%)
  • 보호예수 적용: 3,557,361주 (63.78%)

세나테크놀로지 사업 정보

세나테크놀로지는 26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전문 기업으로, 메시(Mesh) 통신 기술을 활용한 팀 커뮤니케이션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합니다. 미국, 독일, 프랑스, 중국, 일본 등에 해외 법인을 두고 140여 개국 약 4천여 개의 글로벌 대리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며, 전체 매출의 95%를 해외에서 창출하는 수출 중심 기업입니다. 현재 약 151종의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터사이클 무선 통신 분야에서 'SENA' 브랜드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라인

  • 모터사이클 팀 커뮤니케이션: 60S, 50S, 50R, 50C, SRL3, 30K 등 커뮤니케이션 제품 및 Phantom, Surge, Cavalry2 등 스마트 헬멧
  • 사이클링/아웃도어: Bikom20, Talkie, ExpandM 등 커뮤니케이션 제품
  • 산업 현장용: Cast, Tufftalk, Expand Mesh 등
  • 네트워킹: Parani 시리즈 등

재무 현황 및 실적 분석

세나테크놀로지는 2024년 기준 매출 1,675억원, 영업이익 216억원, 당기순이익 190억원을 기록하며 견고한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3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10.7%나 급증하여 수익성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2025년 반기에도 매출 996억원, 영업이익 140억원을 달성하며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요 재무 지표 (2024년 기준)
  • 매출액: 1,675억원 (전년 대비 +26.34%)
  • 영업이익: 216억원 (영업이익률 12.47%)
  • 당기순이익: 190억원
  • 부채비율: 20.08% (안정적 재무구조)
  • 유동비율: 463.64%
  • 자기자본수익률(ROE): 14.98%
수익성 및 성장성
  • 영업이익 증가율: 110.70% (2024년)
  • 자기자본수익률: 14.98% (2024년)
  • 영업이익률: 12.47% (2024년)

투자 포인트 및 리스크

세나테크놀로지의 가장 큰 강점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브랜드 파워와 높은 해외 매출 비중입니다. 모터사이클 무선 통신 시장에서 'SENA' 브랜드는 업계 표준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140개국 이상에 구축된 글로벌 유통망은 지속적인 성장의 기반이 됩니다. 다만,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입니다.

투자 강점
  • 모터사이클 무선 통신 분야 독보적 브랜드 (SENA)
  • 매출의 95% 해외 발생 (140개국 판매망)
  • 견고한 수익성 (영업이익률 12.47%, ROE 14.98%)
  • 낮은 부채비율 (20.08%)과 높은 유동비율 (463.64%)
투자 리스크
  • 높은 해외 매출 비중으로 인한 환율 리스크
  • 모터사이클 시장 의존도 (전체 매출의 약 87%)
  • 경기 민감 소비재 특성
  • 네트워킹 부문 매출 감소 추세 (2023년 68억 → 2024년 37억)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일은 언제인가요?

일반 청약자 청약일은 2025년 11월 4일부터 11월 5일까지 이틀간 진행됩니다.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으며, 청약 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입니다.


Q2. 세나테크놀로지의 주요 사업 분야는 무엇인가요?

세나테크놀로지는 모터사이클, 사이클링, 아웃도어 활동용 무선 통신 기기와 스마트 헬멧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메시(Mesh) 통신 기술을 활용한 팀 커뮤니케이션 제품이 주력이며, 전체 매출의 95%를 해외에서 발생시키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Q3. 상장 후 유통 가능한 물량은 얼마나 되나요?

상장 직후 유통 가능한 물량은 전체의 36.22%입니다. 최대주주와 주요 임원들의 주식은 6개월에서 2.5년까지 보호예수가 적용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주가 흐름이 예상됩니다.

마무리

세나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일정과 주관사 청약한도 등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이 기업은 26년 이상의 역사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브랜드 파워를 갖춘 탄탄한 기업입니다. 매출의 95%를 해외에서 창출하는 수출 중심 기업으로, 견고한 재무구조와 높은 수익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모터사이클 시장 의존도가 높고 환율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은 투자 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공모주 청약 전 본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감내 능력을 충분히 검토하신 후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