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2월 초 청약을 앞둔 쿼드메디슨 공모주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업으로, 총 170만주를 모집하는 이번 공모에 참여하기 전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정리했어요. 쿼드메디슨 공모주 공모가 수요예측 및 청약 일정과 주관사 정보부터 재무현황, 사업전망까지 투자 판단에 필요한 핵심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기업정보 - 쿼드메디슨은 어떤 회사인가?
쿼드메디슨은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혁신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 바이오텍 기업입니다. 백승기 대표가 이끄는 이 회사는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어요. 코스닥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장과 공모 주관사는 NH투자증권입니다.
NH투자증권 공모주 청약방법 청약시간 청약수수료 배정결과
NH투자증권 공모주 청약방법 청약시간 청약수수료 배정결과NH투자증권 공모주 청약방법은 많은 투자자들이 궁금해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NH투자증권은 공모주 청약의 주요 증권사 중 하나로,
whenever.korcaster.com
- 종목코드: 464490
- 대표자: 백승기
- 홈페이지: www.quadmedicine.com
- 자본금: 47억 9,500만원 (2024년 기준)

공모 정보: 공모가 배정주식수
이번 쿼드메디슨 공모주는 총 170만주가 100% 신주모집 방식으로 공모됩니다. 공모 예상 금액은 최대 204억원 규모예요. 주간사는 NH투자증권이 맡았으며, 일반 청약자 배정 물량은 42만 5천 주 수준입니다.
- 총공모주식수: 170만주 (신주모집 100%)
- 희망공모가: 12,000 ~ 15,000원
- 확정공모가:
- 액면가: 500원
- 공모금액: 204억원 (최대)
- 주관사: NH투자증권
그룹별 배정
- 우리사주조합: 8만 5천주 (5%)
- 기관투자자: 110만 5천 ~ 127만 5천주 (65 ~ 75%)
- 일반청약자: 42만 5천 ~ 51만주 (25 ~ 30%)
수요예측 청약 및 상장 일정
수요예측은 11월 24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며, 이를 통해 최종 공모가와 기관 배정 비율이 결정됩니다.
일반 투자자 청약일은 12월 2일과 3일 양일간 주관 증권사 계좌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일정 한눈에 보기
- 수요예측: 2025년 11월 24일 ~ 11월 28일
- 공모가 확정: 12월 1일
- 공모청약: 2025년 12월 2일 ~ 12월 3일
- 환불일: 2025년 12월 5일
- 상장일: 추후 발표 예정

수요예측 결과는 12월 1일에 업데이트됩니다.
참여건수:
단순경쟁률:
확정공모가:
주관사 청약자격 및 한도
NH투자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으며, 일반 투자자는 최소 1주부터 최대 14,000주에서 17,000주까지 청약 가능합니다. 청약증거금율은 50%로 설정되어 있어, 희망 청약금액의 절반만 예치하면 돼요. 우리사주조합의 경우 증거금율이 100%로 높게 책정되어 있다는 점도 참고하세요.
청약 참여 조건
- 일반청약자 청약한도: 14,000 ~ 17,000주 / 최고우대등급 42000주

- 청약증거금율: 50%
- 최소 청약주식수 : 10주
- 청약단위

청약증거금은 예를 들어 최대 한도인 17,000주를 청약하려면 공모가 15,000원 기준으로 약 1억 2,750만원의 절반인 6,375만원만 예치하면 됩니다.
상장 후 유통물량은 어떤가요?
공모 후 총 발행주식수는 1,134만주가 되며, 이 중 약 60%에 해당하는 681만주가 보호예수로 묶입니다. 최대주주 백승기 대표를 포함한 임원진의 지분은 3년간 매각 제한이 걸려 있어 단기 물량 부담은 제한적이에요. 다만 일부 벤처금융 투자자들의 물량이 1개월 후부터 순차적으로 풀리기 시작한다는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

보호예수 현황
- 전체 발행주식: 1,134만주
- 보호예수 물량: 681만주 (60.1%)
- 즉시 유통가능: 452만주 (39.9%)
주요 주주 매각제한
- 최대주주 및 임원진 (25.75%): 3년
- 한림제약 (2.27%): 2년
- 광동제약 (1.51%): 6개월
- 벤처금융 투자자 다수: 1 ~ 3개월
재무정보 - 숫자로 보는 쿼드메디슨
2024년 기준 쿼드메디슨의 매출액은 93억원으로 전년 대비 820% 급증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연구개발 단계의 바이오 기업 특성상 영업손실 44억원, 당기순손실 50억원을 기록했어요. 부채비율은 176%로 다소 높은 편이지만, 유동비율은 185%로 단기 자금 운용에는 큰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2024년 주요 재무지표
- 매출액: 93억원 (전년 대비 +820%)
- 영업손실: 44억원
- 당기순손실: 50억원
- 부채비율: 176.35%
- 유동비율: 185.66%
- 자기자본수익률: -43.58%
주가지표 (희망공모가 15,000원 기준)
- EPS (주당순이익): -524원
- PER: -28.60배 (적자 기업)
- BPS (주당순자산): 1,203원
- PBR: 12.46배
사업정보
쿼드메디슨의 핵심 기술은 마이크로니들 플랫폼입니다. 이 기술은 수백 마이크로미터 길이의 미세바늘을 활용해 주사 없이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혁신적인 방식이에요. 기존 근육주사나 피하주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백신과 합성의약품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영역
- 백신의약품 마이크로니들: 2024년 매출 42억원
- 합성의약품 마이크로니들: 2024년 매출 43억원
- 연구용역: 2024년 매출 8억원
마이크로니들 기술 종류
- 분리형 마이크로니들
- 코팅형 마이크로니들
- 중공형 마이크로니들
회사는 현재 국내외 제약사와 기술이전 계약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향후 직접 제품을 개발해 판매하는 것도 사업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매출 구조와 성장성
2025년 상반기 기준 매출액은 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00% 이상 증가했습니다. 매출은 크게 기술료 수입으로 구성되는데, 합성의약품과 백신의약품 분야가 각각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요. 수출 실적은 아직 미미하지만,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이 확대되면서 향후 성장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2024년 매출 구성
- 합성의약품 기술료: 43억원 (46%)
- 백신의약품 기술료: 42억원 (45%)
- 연구용역: 8억원 (9%)
다만 매출이 급증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적자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수익성 개선 시점이 언제가 될지가 투자 판단의 핵심 포인트입니다.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
쿼드메디슨의 가장 큰 강점은 차별화된 마이크로니들 기술력입니다. 주사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이나 소아 환자에게 특히 유용한 기술이며, 백신 접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요. 한림제약, 광동제약 같은 국내 제약사들이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다는 점도 기술력을 인정받은 증거입니다.
투자 매력 포인트
- 혁신적인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기술 보유
- 국내외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진행
- 빠른 매출 성장세 (2024년 +820%)
- 전략적 투자자 참여 (한림제약, 광동제약)
투자 리스크 요인
- 지속되는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
- 높은 PBR 12.46배 (자산가치 대비 고평가 우려)
- 바이오 기업 특유의 높은 불확실성
- 수익성 개선 시점 불명확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쿼드메디슨 공모주 청약일은 언제인가요?
2025년 12월 2일부터 3일까지 양일간 청약이 진행됩니다. NH투자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으며, 청약증거금율은 50%입니다.
Q2. 공모가는 얼마로 예상되나요?
희망공모가는 주당 12,000 ~ 15,000원이며, 11월 24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종 공모가가 확정됩니다.
Q3. 쿼드메디슨은 어떤 사업을 하는 회사인가요?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입니다. 주사 없이 피부를 통해 백신과 의약품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쿼드메디슨 공모주 정보와 수요예측 청약 일정, 주관사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이 회사는 혁신적인 마이크로니들 기술로 의약품 전달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유망한 바이오 기업입니다. 매출이 급증하고 있고 전략적 투자자들의 참여도 활발하지만, 아직 수익성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해요. PBR 12배가 넘는 높은 밸류에이션과 바이오 기업 특유의 불확실성도 투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12월 2일 청약을 앞두고 수요예측 결과와 최종 공모가를 꼼꼼히 확인한 뒤,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춰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공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지스 공모주| 수요예측 청약 일정 공모가 주관사 총정리 (0) | 2025.11.17 |
|---|---|
| 리브스메드 상장| 공모주 청약 일정 수요예측 공모가| 주관사 한도 (0) | 2025.11.17 |
| 2025년 12월 공모주 청약 일정 | 종목 주관사 (0) | 2025.11.13 |
| 페스카로 공모주 청약 수요예측 일정 및 공모가| 주관사 한도 (0) | 2025.11.12 |
| 삼진식품 상장! 공모주 청약 수요예측 일정 및 주관사 한도 (0) | 2025.11.11 |